전기 분야는 꾸준히 취업 수요와 안정적인 연봉을 보장하는 인기 직종입니다. 특히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전기 관련 업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증입니다.
그렇다면 두 자격증의 차이, 응시 조건, 시험 난이도, 전망은 어떻게 다를까요? 가장 중요한 연봉까지!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두개의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목차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의 자격 요건 차이 알아보기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는 자격시험을 치룰수 있는 요건에 차이가 있습니다.
전기산업기사는 : 전문대(2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이거나 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이면 응시 가능합니다.
전기기사는 : 4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이거나 관련 실무경력 4년 이상이면 응시 가능합니다.
👉 즉, 전기산업기사는 입문 단계, 전기기사는 상위 전문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험 과목 및 난이도 비교
전기산업기사의 필기 내용은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기설비 기술 등에 대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난이도는 기사보다는 낮으며 실무 중심의 문제 위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전기기사는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기자기학, 전기설비 기술기준 등에 대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난이도는 당연히 산업기사보다는 과목수가 많고 계산문제의 비중이 큽니다.
👉 전기기사 시험은 수학적 사고와 계산 능력이 요구되어 난이도가 확실히 높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상황에 대해서 상담 받아보시고 결정하여 공부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취업 및 활용도 차이
- 전기산업기사 활용도
- 현장 전기 관리, 전기 안전 점검, 보조 엔지니어 업무
-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되기 위해 2년 이상의 경력 필요
- 전기기사 활용도
- 전기설비 설계, 감리, 유지관리, 시공까지 업무 가능
- 대기업, 공기업, 발전소, 건설사 채용에서 우선 선호 자격증
-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을 갖추기 위해 4년 이상의 경력 필요
👉 결론적으로 산업기사는 취업 입문용, 기사는 전문성과 경쟁력 확보용입니다.
연봉 및 전망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 하시는건 연봉이겠죠?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전기산업기사 취득자는 주로 중소기업, 현장 관리직에 채용되어 연봉은 약 3,000만원~ 3,800만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전기기사 취득자는 대기업, 공기업, 발전소, 건설사 등에서 우대채용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봉은 경력, 기업규모에 따라서 천차만별이겠지만, 약 4,000만원 ~ 6,000만원 이상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충분히 공부하고 경력을 쌓아서 도전해 볼 수 있는 자격증이라 생각됩니다!
👉 전기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경쟁력 + 연봉 협상력에서 확실히 유리합니다.
* 그러면 어떤 테크를 타야 할까요??
저는 아래와 같이 추천합니다.
- 관련 전공 전문대 졸업 예정자 → 전기산업기사 먼저 취득 후 실무 경험 쌓기
- 4년제 대학 전공자 → 바로 전기기사 도전이 유리
- 비전공자·경력직 → 실무 경력에 따라 기사 응시 가능 여부 확인
👉 결론적으로, 전기 분야에서 안정적이고 높은 연봉을 목표로 한다면 최종적으로 전기기사 자격증을 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선택이므로 꼭 자신의 상황에 맞게 상담받아보시고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 및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스팸 전화 차단, 두낫콜로 해결|원치 않는 마케팅 전화 안 받는 법 (0) | 2025.09.06 |
---|---|
예금보험공사가 세운 예별손해보험|MG손해보험 계약 안전하게 보장 (0) | 2025.09.04 |
청년미래적금 가입 조건과 혜택|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갈아탈 수 있을까? (0) | 2025.08.31 |
경력보유여성 추천 정리수납전문가 자격증 완벽 알아보기 / 시험 과목·활용 분야 (1) | 2025.08.31 |
2025 추석 기차표 승차권 예매 일정·방법·성공 확률 높이는 법 (2) | 2025.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