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투자생활

투자철학 #2 메가트렌드

viewnews-1 2025. 9. 29. 23:44
반응형

 

기업이 지금 어떤 위치의 멀티플을 받고 있는지 알게되었다면, 그 다음은 중장기적으로 각광을 받는 사업인지 조사해야한다.

예전에는 이런 조사를 나의 사고력에 근거해서 뇌피셜로 하니까 틀릴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우리에게 많은 나침반이 있다. 이 나침반을 잘 쫓아가면 된다. 

귀멸의칼날 아카자 술식전개 파괴살-나침

 

요즘 뒤늦게 귀멸의 칼날이라는 만화에 빠져서 열심히 보고있는데... (너무 재밌어요 꼭 보세요)

이 만화의 어떤 빌런은 적의 투기나 살기를 느끼고 그쪽 방향에서 공격이 올것을 미리 안다고 한다.

우리 모두 투자에 관한 나만의 나침반을 통해 어디로 돈이 갈지 느끼려고 노력해야 한다.

목차

메가 트렌드

- 말만 딱 들어도 어떤건지 느낌이 오지 않는가? 대단한 개념은 아니다. 

예전에 어떤 미래학자가 처음 언급했다든가 하는 이론적인 개념은 별도로 찾아보시고, 

그냥 아래 그림처럼 오래기간동안 넓은범위에 영향을 미칠만한 어떤 흐름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생각보다 살아가는것에 너무 정신이 없어서 이런 흐름을 모르는 사람이 주변에 꽤 많다.

 

이게 어느 영역인지 우리의 지피티에게 물어봤다.

말이 너무 길어서 많이 축약해달라고 했으니 자세히 얘기하고싶으면 한번 말해보는것도 좋을것이다.

메가트렌드 핵심 요약

  1. 기술 변화
    •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 디지털 전환 같은 혁신이 모든 산업을 바꾼다.
  2. 인구 변화
    • 고령화·저출산, MZ세대의 부상, 도시 집중화가 사회 구조를 흔든다.
  3. 환경·지속가능성
    • 탄소중립, 친환경 에너지, 재활용·순환경제가 필수 과제다.
  4. 글로벌 경제·정치 변화
    • 미·중 갈등, 공급망 재편, 인도·아프리카 같은 신흥국 성장.
  5. 사회·라이프스타일 변화
    • 건강·웰빙 중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원격근무·디지털 노마드 확산.
  6. 미래 산업
    • 우주 산업, 도심항공, 바이오·신소재가 새 성장동력.

https://crevate.com/product/2025megatrend/ 550만원 구독료가 필요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적 지지를 얻는가?

- 위의 트렌드를 쭉 보면 뭐... 고등학생 이상정도만 되면 누구나 수긍할법한 영역이다.

중장기적으로도 돈이 몰리고 투자가 될것이면서 단기적으로 1년이내에 나름의 실적이 나올만한곳을 찾아야 한다.

그럴려면 지금은 트럼프의 입을 봐야 하고 나아가서 정치권의 입김에 귀 기울여야 한다. 

 

구글 AI에게 물어보니 여기로 가면 된다고한다. 귀찮지만 회원가입을 하자

 

트루스 소셜 (Truth Social)
트루스 소셜은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이 소유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직접 설립한 곳으로, 주로 이 플랫폼을 이용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웹사이트: www.truthsocial.com
  • 계정명: @realDonaldTrump

뭔가 파월이 불쌍해보이지만 또 알고보면 그런게 아니기도 하다.

나도 소셜은 자주 보지 않지만, 뭔가 변동성이 급증하면 최근에는 그 진원지가 여기인 경우가 많다. 

액티브하게 대응한 사람이라면 자주봐야 할 필요도 있고, 트렌드가 노골적으로 확인이 된다. 

 

다만, 중장기적인 트럼프 행정부의 눈이 어디로 향하는지 조사할 시간이 없으니까 챗지피티에게 물어보자.

 

트럼프 행정부(2기 기준)가 특히 강조할 가능성이 높은 정책 영역을 보면, 위에서 정리한 메가트렌드 가운데 다음 5가지를 중심으로 투자 관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정책 강조 영역 관련 메가트렌드 구체 정책 방향 및 시사점 투자 관점 포인트

1. 에너지 & 자원 개발 / 규제 완화 지속가능성·기후 변화 / 미래 산업 화석 연료 생산 확대, 채굴 규제 완화, 재생에너지 보조금 감축 또는 재조정  석유·가스 관련 기업, 광산·자원 기업, 기존 전력 인프라 쪽이 수혜 가능성
2. 인공지능·데이터 인프라 활성화 기술 혁신 AI 수출 장려, 데이터센터 인허가 간소화, 규제 완화 조치 추진  클라우드·데이터센터, AI 솔루션 기업, 반도체 및 연관 하드웨어 기업 등 유망
3. 공급망 재편 / 국내 제조 복귀 (리쇼어링) 글로벌 경제 변화 중요 품목 제조 국내 회귀 유도, 고관세 정책 강화, 무역 규제 재편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 국산화 관련 가치사슬 기업 주목
4. 핵심 광물 및 전략 자원 확보 미래 산업 / 지속가능 트렌드와 연결 전략 광물·원자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 감소, 국내 채굴·가공 장려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 소재 기업; 배터리, 2차전지 업종
5. 무역·관세 정책 강화 / 보호무역주의 확대 글로벌 경제 변화 고율 관세 도입, 무역협정 재협상, 수입 규제 강화 조치  수출 중심 기업은 리스크; 관세 혜택을 볼 수 있는 내수 중심 또는 대체 공급망 기업 유리

 

투자 전략 제안 포인트:

  • 단기적으로 에너지·자원산업AI/데이터 인프라 관련 기업이 정책 수혜를 받을 가능성 높음
  • 중장기적으로는 전략 광물·배터리 소재 산업국산화 연결 가치사슬 쪽이 구조적 강점 발생 가능
  • 반면, 수출 중심 산업은 관세 리스크와 무역 갈등에 노출 가능성이 있으므로 헤지 전략 필요

결국 결론이 AI로 오는것 같다. 

지금 주목하는 것은?

- 여기까지는 그냥 세상에서 떠는것이고, 결국 주사위는 내 손에 온것이다. 

투자란 그런것 같다.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은데 어느곳에 베팅할건지 결정하는것.

그 결정이 나의 생각이나 근거가 아닌, 타의에 의하면 흔들리게 된다. 

좋은게 그렇다고 많으니 이걸 다 똑같은 비율로 투자하는 계란분산작전은 성공율이 너무 낮다. 

 

그래서 니 생각은 뭔데? 라고 물어볼것같아 정리한다. 

일단 내가 현재 주목하고 있는 넥스트 텐베거다

 

1. AI는 버블이냐 아니냐 논란이 있을정도라 이미 시세가 확인된 트렌드이다. 

하지만 이게 안붙으면 텐배거가 되긴 어려운것 같다.

 

2. 결국 사람은 건강에 관심이 갈수밖에 없다. 넥스트 흐름은 바이오일것같다.

 

3. 이악물고 무시하던 트렌드가 크립토 생태계였다. 난 아직도 비트코인이 왜 디지털 금인지 잘 모르겠다.

그냥 좋으니까 더 좋은거고 이제 무시할수 없는 기술의 발전과 자본의 집약이 이뤄진것 같아 이젠 관심을 주고있다.

 

4. 우주산업은 원래 스페이스 X가 가장 앞선 기업이나, 상장이 안되어있고 일론 머스크가 하는 꼬라지를 봐서는

앞으로도 상장은 어려워 보여 로켓랩 1개 기업만 선정했다.

 

앞으로 이 포트폴리오 위주로 글을 작성할 계획이니, 같이 관심 가져주길 바란다.

여기있는 주식을 모두 매수한 상태이니, 보유 편향이 존재할수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반응형